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화내는 아이 vs 속 터지는 부모: 감정 폭발 상황에서 대처하는 법

by threejae23 2025. 4. 24.

오늘은 육아 과정에서 감정 폭발 상황에서 대처하는 법에 대해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.

화내는 아이 vs 속 터지는 부모: 감정 폭발 상황에서 대처하는 법
화내는 아이 vs 속 터지는 부모: 감정 폭발 상황에서 대처하는 법

“엄마도 사람인데…” – 감정이 폭발하는 순간들

아침에 늦잠을 자고, 겨우 아이를 깨워서 밥 먹이려는데 밥은 안 먹겠다고 하고, 양말도 안 신겠다고 짜증을 부립니다.
그 순간, 마음속에서 올라오는 말:
“대체 왜 이래! 지금 장난해? 엄마도 참는다 참아!”

이런 순간, 부모라면 누구나 겪습니다.
아이의 감정 폭발 앞에서, 나도 터질 것 같은 내 감정을 간신히 억누르거나, 결국 참지 못하고 함께 폭발하기도 해요.
그러고 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후회.
"또 소리 질렀다... 이렇게 해서 괜찮은 걸까?"

아이도 힘들고, 나도 힘든 이 반복되는 전쟁.
그런데 사실 이 상황은 감정을 다루는 법만 알면 조금 달라질 수 있어요.
감정을 억누르지도, 폭발하지도 않고, 건강하게 표현하고 이해받는 연습.
그게 바로 감정 코칭이 주는 힘이에요.

 

감정 폭발 상황에서 부모가 먼저 할 수 있는 일

감정이 격해질수록 우리는 아이의 말에 귀 기울이기보다,
지시하고, 고치고, 그만두게 하는 데 집중하게 됩니다.
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먼저 해야 하는 건 바로 감정의 이름 붙이기예요.

📌 STEP 1: 감정을 먼저 읽어주기
아이는 말 대신 행동(소리 지르기, 울기, 물건 던지기)으로 감정을 표현합니다.
이럴 때 아래처럼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면, 아이는 “내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있구나”라는 안정감을 느껴요.

예시 1:

아이: “싫어! 나 안 해! 저리 가!”
부모: “지금 너무 화났구나. 엄마가 그렇게 말해서 속상했어?”

예시 2:

아이: (동생과 장난감 싸움 후 소리 지름)
부모: “장난감 가지고 싶었는데 동생이 먼저 가져가서 화가 났구나.”

감정을 읽어주는 말은 아이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게 아닙니다.
단지 ‘지금 네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알아’라고 말해주는 거예요.

📌 STEP 2: 감정은 수용, 행동은 한계 설정
감정을 수용한다고 해서 모든 행동을 허용하는 건 아니에요.
중요한 건, 아이가 감정을 느끼는 건 괜찮지만,
그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규칙이 있다는 걸 알려주는 것.

예시 3:

“화났을 수 있어. 그렇지만 엄마한테 소리 지르는 건 안 돼.”
“속상한 건 알겠어. 그런데 물건을 던지면 위험해.”

이렇게 말하면 아이는 “내 마음은 받아들여지되, 행동은 조절해야 하는구나”를 배웁니다.

📌 STEP 3: 부모 자신의 감정도 인식하고 조절하기
아이의 감정을 다루기 전에,
내 감정부터 들여다보는 것도 정말 중요해요.

예시 4 (내면의 말):

“지금 나는 급하고, 피곤하고, 이해받고 싶다.”
“아이한테 화가 나는 게 아니라, 지금 나도 여유가 없구나.”

이렇게 내 감정을 인식하면, 아이의 행동에 덜 휘둘리게 되고,
내가 “통제자”가 아니라 “공 감자”가 될 수 있어요.

 

감정 폭발 후 회복을 도와주는 대화법

아이와 부모 모두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폭발한 상황이 끝났다면,
그 순간을 ‘회복의 기회’로 바꾸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.

감정이 가라앉은 후, 우리는 아이에게 말할 수 있어요:

“아까 엄마가 너무 소리 질러서 미안해. 엄마도 힘들었어.”
“우리 다시 이야기해 볼까? 왜 그렇게 화가 났는지 말해줄래?”

이렇게 말해주면 아이는

부모도 감정을 느끼고 실수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걸 배우고

감정은 숨기거나 억누르는 게 아니라, 나누고 회복할 수 있다는 걸 경험하게 됩니다.

또한, 반복적으로 감정 회복 대화를 하다 보면
아이도 자연스럽게 이런 표현을 배우게 돼요:

“나 화났어.”
“속상해.”
“미안해.”
“다시 해볼래.”

이 짧은 말들이 쌓여 아이의 정서 언어가 되고,
장차 문제 해결력, 공감 능력, 자존감을 만드는 감정의 기초 체력이 되는 거예요.

 

 

아이의 화는 문제 행동이 아니라, 도움이 필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.
그리고 부모의 분노 또한 나쁜 감정이 아니라,
“내가 지치고 힘들다”는 내면의 목소리예요.

아이와 부모 모두 완벽할 수는 없어요.
하지만 감정 폭발의 순간을 ‘단절’이 아닌 ‘연결’로 바꾼다면,
그 자체가 감정 코칭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.